건강 생각 / / 2022. 10. 12. 21:42

척추측만증

반응형

정상 척추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추와 요추는 앞으로 휜 전만곡, 흉추는 뒤로 휜 후만곡의 형태입니다. 척추측만증이란 척추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측면만곡 증상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옆으로 휘기만 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척추뼈의 회전이 동반되는 3차원적 변형입니다. 인구의 3% 내외에서 발병하는데 대부분 소아기나 청소년기에 진단되며 성별의 차이는 없지만 여성의 경우 추후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발전 할 가능성이 남성에 비해 8배나 높다고 합니다.

척추측만증

원인과 징후

척추측만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전체 사례의 80% 이상은 특발성 척추측만증으로서 다른 모든 원인을 배제한 진단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청소년기의 특발성 척추측만증은 가장 흔한 유형으로 사춘기 동안 진단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반해 선천성 척추측만증은 태생적 기형에 의해 발생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특발성 척추측만증보다 어린 나이에 발견됩니다. 신경근 척추측만증은 뇌성마비, 척수 외상, 근이영양증과 관련된 척추측만증입니다. 병의 진행이 빠르고 종종 외과적 수술이 필요합니다. 척추측만증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몇 가지 징후가 있습니다. 여러분도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바르게 섰을 때 양쪽 어깨의 높낮이가 다릅니다. 머리가 골반이나 몸통의 가운데에 위치하지 않습니다. 한쪽 엉덩이가 다른 쪽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높습니다. 견갑골이 튀어나오거나 양쪽 유방의 크기가 다르고 등을 만졌을 때 불균형적으로 튀어나온 부분이 있습니다. 몸 전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기도 합니다. 가정에서 손쉽게 척추측만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르게 선 후 등을 앞으로 천천히 인사듯이 90도 정도 구부리세요. 이때 뒤에서 보았을 때 한쪽 등이 다른 쪽보다 높은 것이 보인다던지, 갈비뼈나 날개뼈가 한쪽만 더 튀어나와 보인다면 척추측만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 검사를 통해 병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측만의 정도가 심한 경우 흉곽의 모양과 크기가 변하면서 폐 기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므로 숨이 자주 가쁘다던가 하는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진단과 치료

척추측만증은 엑스레이, CT, MRI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곡의 정도는 cobb검사로 판단하는데 45도 이상의 만곡은 중증으로 분류되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척추가 변형된 상태에서 통증이 수반되는지의 여부가 매우 중요합니다. 소아나 청소년기의 척추측만증 환자는 대부분 통증을 느끼지 못합니다. 따라서 통증이 수반되는 경우 척추의 변형과 함께 통증까지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질병, 예를 들어 척추 전방 전위증이나 척추의 종양 등을 염두에 두고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폐활량 검사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폐기능을 체크하기 위해 꼭 시행되어야 하는 검사입니다. 측만 각도가 80도 이상의 흉부 만곡 환자에서는 운동시 호흡곤란이 일어날 수 있으며 120도가 넘으면 증상이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척추측만증 환자의 치료는 측만의 정도와 만곡의 위치, 만곡의 향후 진행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방향이 설정됩니다. 먼저 소아의 척추측만증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증상이 가볍습니다. 만약 만곡의 정도가 증가할 것이 염려된다면 청소년기 내내 6개월마다 검사를 하면서 관찰합니다. 성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정기적으로 엑스레이 검사를 하며 관찰할 수 있습니다. 중등도의 환자의 경우, 특히 청소년이어서 아직 성장이 진행 중이고 만곡이 25도에서 40도 사이인 경우 보조기를 착용할 수 있습니다. 보조기의 착용 목적은 만곡을 교정하고 더 이상의 진행을 막아주는 것입니다. 보조기 치료에도 불구하고 10% 정도의 환자에서 만곡이 더 진행될 확률이 존재합니다. 마지막으로 수술적 치료입니다. 측만이 이미 상당히 진행되어 외관상 변형이 심할 경우, 성장기 환아가 보조기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나빠져 40도 이상의 측만이 진행되는 경우, 측만으로 인한 고통을 계속 호소하는 경우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의 원리는 금속 고정물을 사용해 척추 뼈에 직접 삽입하여 교정술을 진행하고 척추 유합술로 교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제대로 교정되지 않거나 지나치게 교정하여 신경 합병증 및 염증 등 합병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한 생활가이드

척추측만증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특별한 예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 성장이 끝날때까지 주기적으로 방사선 촬영을 통해 병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합니다. 척추측만증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식이요법은 없습니다. 많은 청소년들이 요통이 생기면 척추측만증 때문이 아닌가 걱정을 하지만 둘이 꼭 관련이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통증 발생 시 의사를 찾아 적절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에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요통을 예방하도록 합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