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은 염증성 관절염의 흔한 유형입니다. 주로 엄지발가락에 통증을 느끼며 종종 밤에 갑작스럽고 격렬한 발작성 통증이 찾아옵니다. 점점 다른 발가락이나 발목, 무릎으로 통증이 번지기도 합니다. 때로는 손가락을 통해 첫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통풍에 걸릴 확률이 3배 이상 높고 대게는 40대 이상에서 첫 발작적 관절염을 경험하는데 치료하지 않으면 발작의 빈도가 높아지고 침범하는 관절이 늘어나며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과거에는 좋은 음식을 먹고 술을 마시는 부유층에게 주로 발생하는 병으로 인식되었지만 식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전 사회계층에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고 발생 연령도 낮아지고 있습니다.
통풍의 초기 증상
위에서 언급했듯이 통풍은 대게 엄지발가락 통증으로 시작됩니다. 한밤중에 엄지발가락에 격렬한 통증을 느끼며 잠에서 깨어날 수 있습니다. 통풍의 원인이 되는 요산이 엄지발가락 관절에 축적되어 결정을 형성하고 이것이 통증을 유발합니다. 심하게는 이불이 스치기만 해도 아프고 불편합니다. 요산은 붉은 고기나 맥주에서 발견되는 천연 화학물질인 퓨린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물질입니다. 본래는 소변으로 배설되어야 하지만 이런 식품을 너무 많이 먹으면 신장에서 걸러내지 못하고 신체에 머물러 결정화되어 쌓이게 되는 것입니다. 퓨린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대표적인 것이 맥주와 붉은 고기지만 설탕이 함유된 음료나 도넛, 쿠키, 라면 같은 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에도 들어있습니다. 엄지발가락에서 시작된 통증은 다른 관절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릎이나 발목, 손목, 팔꿈치 등에서 평소와 다른 심한 아픔이 느껴진다면 통풍의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낮보다는 밤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밤에 수분 부족이나 탈수 등 요산이 쉽게 축적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 때문입니다. 통증이 항상 지속되기보다는 갑자기 사라지거나 괜찮아지기도 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바로 병원을 방문하지 않다가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하게는 요산 결정이 쌓여 덩어리처럼 만져지기도 하는데 이렇게 되면 이미 초기는 지난 시점으로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통풍에 걸릴 수 있는 위험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퓨린이 많이 함유된 식품의 과다 섭취입니다. 과체중일 경우 신체가 더 많은 요산을 생성하게 되며, 반대로 제거하는 데에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요산이 축적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유전적 요인도 있습니다. 당뇨나 비만, 심장질환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근래에 주목받고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역시 관절염을 포함한 대부분의 염증성 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진단과 치료
통풍을 진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관절액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통증이 있는 관절에서 관절액을 빼내어 현미경으로 요산 결정을 검사합니다. 또 혈액검사를 통해 혈중 요산 수치를 파악합니다. 관절의 요산결정을 보기 이해 엑스레이, 초음파 검사 등 영상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식단관리로 나뉩니다. 먼저 통증과 발작을 줄여주기 위하여 소염제와 요산 저하제 등의 약물을 사용합니다. 이부프로펜, 콜히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은 고통을 줄이고 염증을 빠르게 줄이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잠재적인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의사의 처방과 지시에 따라 복용해야 합니다. 요산 저하제는 1년에 여러 번의 통풍 발작이 있거나 엑스레이에서 관절 손상의 징후가 있는 경우 사용합니다. 알로퓨리놀 등이 있습니다. 약물 치료와 더불어 반드시 시행되어야 할 것은 식단의 관리입니다. 수십 년 간 의사들은 통풍 환자들에게 붉은 고기와 알코올을 제한하라고 권유했는데, 이제는 전반적인 건강식단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예를 들어 지중해식 식단 등으로 식단을 대체하는 것이 요산의 수치를 낮추고 통풍을 예방하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것입니다. 평소에 즐겨먹던 고기와 맥주를 줄이고 베리류의 과일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으로 식단을 대체하십시오. 포화지방 대신 신선한 올리브유를 먹고 유제품도 저지방으로 대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적당한 운동과 충분한 수분 섭취도 요산의 축적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건강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와 합병증 (0) | 2022.10.21 |
---|---|
겨울철 걸리기 쉬운 질병 다섯가지 (0) | 2022.10.19 |
건선의 증상과 치료 (0) | 2022.10.18 |
렉틴 프리 식단의 양면성 (0) | 2022.10.14 |
시력교정술의 종류별 특징 (0) | 2022.10.14 |